한국인이 자주 영어라고 착각하거나 잘못 사용하는 표현들을 집중적으로 파헤쳐 보고, 올바른 영어 표현은 무엇인지 구체적인 예시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인이 흔히 틀리는 영어 표현의 문제점
우리는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고 미디어 등을 통해 영어를 접하며 자연스럽게 다양한 영어 표현을 익힙니다. 하지만 한국어의 어순이나 문화적 배경이 영어와 다르기 때문에, 영어 단어를 조합하거나 한국어 표현을 직역하는 과정에서 실제 영어와는 다른 형태의 표현, 즉 콩글리시가 만들어지곤 합니다. 이러한 콩글리시는 영어권 사람들과 의사소통이 되지 않거나 어색함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핸드폰'이나 '사인'과 같은 단어는 한국에서는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만, 영어 원어민에게는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지거나 아예 사용되지 않는 표현입니다.
한국인이 영어라고 착각하는 대표적인 콩글리시 표현들
우리가 일상에서 영어라고 생각하는 단어가 있지만, 사실은 한국에서만 통용되는 '콩글리시'인 표현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실제 영어권에서는 사용되지 않거나 전혀 다른 의미로 사용됩니다.
사례
핸드폰
영어권에서는 'Hand phone'이라고 하면 아무도 이해하지 못합니다. 휴대 전화는 영어로 'Cell phone' 또는 'Mobile phone'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특히 미국에서는 'Cell phone'을, 영국을 포함한 다른 지역에서는 'Mobile phone'을 더 자주 사용합니다. '핸드폰'은 한국에서 만들어진 조어이며, 실제 영어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사인
우리는 유명인의 서명이나 계약서에 하는 서명을 '사인'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영어에서 'Sign'은 '표지판', '징후', '신호' 등의 의미로 주로 사용됩니다. 서명은 영어로 'Signature'라고 하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Can I get your sign?'이라고 말하면 '표지판을 받을 수 있나요?'와 같은 이상한 의미가 되어버립니다. 유명인에게 사인을 요청할 때는 'Can I get your signature?' 또는 간단히 'Can I get your autograph?'라고 말해야 합니다.
서비스
'서비스(Service)'라는 단어도 한국에서 독특하게 사용되는 경우입니다. 식당에서 음식을 추가로 무료로 제공받거나, 어떤 상품을 구매했을 때 덤으로 무언가를 받을 때 우리는 '서비스'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영어에서 'Service'는 '봉사', '용역', '서비스업' 등 본래의 의미로 사용되며, 무료로 제공되는 덤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것은 'Freebie' 또는 'Complimentary item' 등으로 표현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이건 서비스예요'라고 말하고 싶다면 'This is a freebie' 또는 'This is on the house' (식당에서)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컨닝
'컨닝(Cunning)' 역시 한국에서만 사용되는 콩글리시입니다.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하는 것을 우리는 '컨닝한다'고 말합니다. 하지만 영어에서 'Cunning'은 '교활한', '약삭빠른'이라는 형용사입니다. 시험 부정행위는 영어로 'Cheating'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He is cunning'이라고 하면 '그는 교활하다'는 뜻이지, '그는 시험에서 부정행위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미팅
'미팅(Meeting)'도 한국에서 사용되는 의미와 영어의 본래 의미에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에서 '미팅'은 주로 남녀가 만나는 소개팅이나 단체 만남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영어에서 'Meeting'은 단순히 '회의'나 '모임'을 의미하며, 남녀 간의 만남만을 특정하지 않습니다. 남녀 간의 만남, 특히 소개팅은 영어로 'Blind date'라고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여러 명이 함께 만나는 것은 'Group date' 등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 외의 표현
이 외에도 '오바하다(Over)', '백미러(Back mirror)', '비닐하우스(Vinyl house)', '원룸(One-room)', '아르바이트(Arbeit)' 등 한국에서 흔히 사용되지만 영어권에서는 사용되지 않거나 다른 의미로 사용되는 콩글리시 표현들이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이러한 표현들은 한국어 환경에서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영어 원어민과 대화하거나 공식적인 글쓰기를 할 때는 문제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