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심리학에서 기능고착 심리: 창의성의 장애물과 극복 방법

지식과지혜 2024. 7. 20.
반응형

심리학에서 기능고착(Functional Fixedness)은 우리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장애물 중 하나입니다. 이 개념은 특정 물체나 도구가 오직 그 본래의 용도로만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말합니다. 기능고착은 창의적 사고를 방해하고 문제 해결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 글에서는 기능고착의 정의, 역사적 배경, 예시, 그리고 극복 방법을 다루어 보겠습니다.

기능고착 심리
기능고착 심리

 

반응형

1. 기능고착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

기능고착은 인지 편향의 한 형태로, 한 물체를 그 고유의 기능 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어렵게 만드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이 개념은 1935년 게슈탈트 심리학자인 칼 던커(Carl Duncker)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던커는 그의 유명한 촛불 문제(Candle Problem) 실험을 통해 기능고착을 연구하였습니다. 이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촛불을 벽에 붙이기 위해 핀, 성냥, 그리고 작은 상자를 제공받았습니다. 상자를 핀의 용기가 아니라 촛대를 붙이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참가자들이 많았는데, 이는 그들이 상자의 원래 용도에 고착되었기 때문입니다.

 

 

기능적 고착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기능적 고착(Functional fixedness)은 한 대상이나 물건에 대하여 기존에 사용해 오던 방식으로만 사용하도록 한정시키는 인지 편향(cognitive bias)을 말한다. 게슈탈트

ko.wikipedia.org

 

2. 기능고착의 예시

기능고착은 일상 생활에서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다음은 기능고착을 설명하는 몇 가지 예시입니다:

2.1. 가정에서의 예시

  • 병따개로만 병을 여는 경우: 주방에서 병따개가 사라졌을 때, 우리는 종종 병을 열지 못해 당황합니다. 사실 병뚜껑을 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른 도구들이 많지만, 병따개의 기능에 고착되어 다른 방법을 떠올리지 못합니다.
  • 집게와 고무줄: 고무줄이 필요한 상황에서, 고무줄이 없다면 우리는 종종 그 일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실 집게를 사용하여 고무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습니다.

2.2. 직장에서의 예시

  • 문서 보관함: 문서를 정리할 때, 우리는 종종 파일 폴더나 서랍장을 사용합니다. 그러나 폴더가 없다면 상자나 다른 용기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정해진 방식에 고착되어 이러한 대안을 생각하지 못할 때가 많습니다.

2.3. 교육에서의 예시

  • 교실 도구 사용: 학생들이 실험을 할 때, 특정 도구가 없으면 실험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도구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은 기능고착을 극복하는 좋은 연습이 될 수 있습니다.

3. 기능고착 극복 방법

기능고착을 극복하는 것은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다음은 기능고착을 극복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입니다:

3.1. 사고의 전환

  • 상자 밖에서 생각하기: 문제 해결 시 기존의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으로 문제를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고정관념을 깨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 메타인지 훈련: 자신의 사고 과정을 인식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능고착을 파악하여 이를 극복하는 연습을 합니다.

3.2. 다양한 경험과 학습

  • 다양한 도구 사용 경험: 다양한 도구와 그 사용 방법을 경험함으로써, 특정 도구의 용도에 고착되지 않도록 합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을 자주 활용해 봅니다.
  • 문제 해결 훈련: 다양한 문제 해결 시나리오를 통해 기능고착을 인식하고 극복하는 훈련을 합니다. 이는 특히 교육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3.3. 협력과 토론

  • 팀 협업: 다양한 배경과 경험을 가진 사람들과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때, 기능고착을 극복하기가 더 쉬워집니다. 다른 사람들의 시각과 아이디어를 통해 새로운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브레인스토밍: 팀원들과 함께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고정관념을 깨는 과정을 통해 기능고착을 극복합니다.

4. 기능고착과 창의성

기능고착은 창의성의 가장 큰 장애물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창의적 사고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바라보고 해결하는 능력입니다. 기능고착을 극복함으로써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4.1. 창의적 문제 해결 사례

  • 아이디어 통합: 디자이너들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할 때, 기존의 제품 기능에 고착되지 않고 다양한 아이디어를 통합하여 혁신적인 제품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발전 과정에서 여러 기능이 통합되어 하나의 장치로 발전한 사례가 있습니다.
  • 제약 조건을 활용한 창의성: 제약 조건이 많은 상황에서도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르키메데스가 목욕 중 물의 부력을 통해 왕관의 금속 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생각해낸 것이 좋은 예시입니다.

4.2. 창의성 개발을 위한 교육

  • 문제 기반 학습: 실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유도하는 학습 방법입니다. 이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하고 기능고착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창의적 놀이: 어린 시절부터 창의적인 놀이를 통해 다양한 도구와 방법을 접하게 함으로써, 기능고착 없이 자유롭게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5. 결론

기능고착은 일상 생활과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인지적 장애물입니다. 그러나 이를 인식하고 극복하는 방법을 통해 우리는 더 창의적이고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기능고착을 극복하는 데에는 사고의 전환, 다양한 경험과 학습, 협력과 토론이 중요합니다. 심리학 연구와 교육에서 기능고착을 다루는 것은 창의성 개발과 문제 해결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기능고착을 이해하고 극복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우리는 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발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

💲 추천 글